영천시청 구내식당 운영체계 "전면 재검토 촉구" 논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4회 작성일 25-11-03본문
“영천시청 구내식당 운영 중단 또는 정상가격 전환해야”
영천시 공무원들의 점심 한끼 값이 월 3만 5천원만 지불하면 ‘반값 식사’ 를 할수있는 구내식당 체계로 인해 논란이 예상된다.
영천시의회 하기태 의원(동부동·중앙동)이 영천시청 구내식당 운영체계의 전면 재검토를 요구하며 지역 상권 회복을 위한 대안을 제시했다.
하 의원은 지난달 31일 열린 제7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공무원만의 밥상이 아닌 시민과 함께하는 상생의 구조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 의원은 “점심 한 끼가 내일의 지역 상권을 되살리는 가장 따뜻한 투자”라며 “공무원도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지역 소상공인과 고통을 분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안으로 ▲경기 회복 시점까지 구내식당 운영 중단 또는 ▲전국 평균 수준인 회당 5천~7천 원의 유료 전환을 제안했다.
현재 영천시청 공무원은 정액 급식비(월 14만 원)를 별도로 지급받으면서도 구내식당 이용 시 월 3만5천 원만 부담하면 사실상 무상급식 수준의 식사가 가능하다.

하 의원은 또 “시민의 밥상은 못 차려주면서 공무원 밥상만 챙기는 구조는 시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한 시는 2025년 기준 구내식당 운영을 위해 임기제 공무원을 채용하고 약 8천만 원의 예산(인건비·보험료 포함)을 투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 의원은 “세금이 공무원 식사에 과도하게 쓰이는 것은 형평성 논란을 피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구내식당 1식의 체감가가 2천 원 미만으로 형성되면서 주변 식당의 매출 감소와 지역경제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또 “이 같은 수요 왜곡은 식당 매출 감소 → 고용 축소 → 지방세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한다”며 “빈 상가 증가와 인구 유출을 가속시킬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대안으로 경기 회복 전까지 구내식당 운영을 일시 중단하고, 공무원들이 인근 민간 식당을 이용하도록 유도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구내식당을 계속 운영할 경우에는 식자재 전량을 지역 농가와 연계 구매해 지역 상생 효과를 높일 것을 주문했다.
하기태 의원은 “공무원들의 한 끼, 한 끼의 발걸음이 메마른 골목상권에 단비가 될 수 있다”며 “집행부는 구내식당 운영 방식을 전면 재검토하고 현실적인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